교황 세르지오 3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세르지오 3세는 904년부터 911년까지 재위한 인물이다. 그는 로마 귀족 가문 출신으로, 교황 마리노 1세에 의해 차부제로, 교황 스테파노 5세 때 부제로 서품받았다. 교황 포르모소와 적대 관계였으며, 시체 시노드에 참여했다. 교황이 되려는 시도가 좌절된 후, 904년 대립 교황 크리스토포로를 축출하고 교황으로 즉위했다. 테오필락트 가문의 영향 아래에서 실권을 잃고 꼭두각시가 되었으며, 전임 교황 레오 5세와 대립 교황 크리스토포로를 살해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재위 기간 동안 족벌주의를 통해 가족과 귀족들을 교회의 요직에 임명했으며, 교황 포르모소의 서품을 무효화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와 필리오케 문제로 대립했다. 그는 마로치아와의 부적절한 관계와 관련된 논란에 휩싸였으며, 역사적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살인자 - 베페 그릴로
베페 그릴로는 이탈리아 제노바 출신의 코미디언, 배우, 블로거, 정치 운동가로서, 정치 풍자 코미디로 인기를 얻었으나 정치 비판으로 방송 출연에 제약을 받게 된 후 블로그를 통해 정치 활동을 시작, 오성 운동을 창당하여 이탈리아 정치에 참여했다. - 이탈리아의 살인자 - 교황 요한 12세
교황 요한 12세는 955년 교황으로 선출되어 즉위 후 교황령 회복과 오토 1세 대관을 주도했으나, 이후 오토 1세와의 갈등, 폐위와 복위 등 혼란스러운 행보를 보이며 로마 교회 권위 하락을 초래하여 로마 교회의 "철의 시대"를 야기했다. - 911년 사망 - 노연창
노연창은 10세기 초 건주를 통치했던 인물로, 아버지 노광조의 뒤를 이어 건주 통치자가 되었으나 사치와 향락에 빠져 부하 여구에게 살해당했다. - 911년 사망 - 루도비쿠스 4세 인판스
루도비쿠스 4세 인판스는 6세의 나이로 동프랑크 왕국의 왕이 되었으나, 어린 나이로 인한 혼란과 마자르족의 침입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해 911년 사망하며 카롤링거 왕조가 단절되었다. - 860년 출생 - 교황 요한 10세
교황 요한 10세는 914년부터 928년까지 재임하며 테오도라와 마로치아와의 권력 투쟁, 이탈리아 방어, 베렌가리오 1세 황제 즉위, 동서유럽 교회 문제 관여 등 정치적 활동을 펼쳤으나 폐위 후 옥사했다. - 860년 출생 - 쿡하오
10세기 초 쿡 가문의 일원인 쿡 하오는 띤하이 꿘을 통치하며 사회 및 행정 개혁을 통해 베트남의 자치를 강화하고 백성들의 삶을 안정시켰으며, 비록 그의 아들이 자치 유지에 실패했음에도 베트남 독립의 토대를 마련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교황 세르지오 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세르지오 3세 |
직함 | 로마 주교 |
교회 | 가톨릭 교회 |
생애 | |
출생 | 860년경 |
출생지 | 교황령 로마 |
사망 | 911년 4월 14일 |
사망지 | 교황령 로마 |
기타 | 세르지오 |
재임 정보 | |
재임 시작 | 904년 1월 29일 |
재임 종료 | 911년 4월 14일 |
이전 교황 | 레오 5세 |
다음 교황 | 아나스타시오 3세 |
가족 관계 (추정) | |
배우자 (추정) | 마로치아 |
자녀 (추정) | 요한 11세 |
기타 정보 | |
참고 | [[파일:Pope Sergius III.jpg|220px]] |
관련 인물 | 세르기우스 |
2. 초창기
세르지오는 교황 마리노 1세에 의해 차부제로, 교황 스테파노 5세 때 부제로 서품받았다.[56] 교황 포르모소 재임 시절, 스폴레토의 람베르토 2세 황제를 지지하는 귀족당의 일원으로 포르모소 및 그가 지지한 아르눌프 폰 케른텐과는 적대 관계였다.[57] 893년, 포르모소는 세르지오를 체레의 주교(체르베테리)로 서임하면서 로마에서 떠나도록 지시했다.[58] 교황 테오도로 2세는 포르모소가 세르지오에게 부여한 사제 서품의 유효성을 인정했지만,[59] 896년 포르모소 선종 후 그가 생전에 부여한 모든 서품이 한때 무효 처리되면서 세르지오는 한동안 주교로서 활동하지 못했다.[60] 그는 시체 시노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이미 선종한 포르모소를 단죄하는데 앞장섰다.[61]
898년 교황 테오도로 2세가 선종하자, 세르지오는 아버지 베네딕토가 이끄는 로마 귀족들의 힘을 빌려 교황이 되고자 했다. 그러나 이는 그가 지지했던 람베르토 2세 황제의 뜻과는 반대되는 것이었다. 결국 교황 요한 9세가 선출되면서 세르지오의 희망은 좌절되었다. 람베르토 2세의 지지를 받은 요한 9세는 세르지오와 그의 추종자들을 파문하기 위해 시노드를 소집했고,[62] 세르지오는 람베르토 2세에 의해 강제로 로마에서 추방되어 체레의 주교(체르베테리)로 피신, 토스카나 후작 아달베르토 2세의 보호를 받았다.[63]
2. 1. 출생과 가문
세르지오는 베네딕토의 아들이며,[54] 전통적인 로마 귀족 집안의 자손이라고 전해진다.[55] 그의 집안은 투스쿨룸 백작 테오필락트 1세 가문과 친척 관계라고 전해진다.[55] 그는 교황 마리노 1세에 의해 차부제로 서품받았으며, 뒤이어 교황 스테파노 5세 때에 부제로 서품받았다.[56]2. 2. 초기 경력
세르지오는 베네딕토의 아들이었으며,[54] 전통적인 로마 귀족 집안의 자손이라고 전해진다.[55] 그의 집안은 투스쿨룸 백작 테오필락트 1세의 집안과 친척 관계라고 전해진다.[55] 그는 교황 마리노 1세에 의해 차부제로 서품받았으며, 뒤이어 교황 스테파노 5세 때에 부제로 서품받았다.[56]교황 포르모소 재임 시절, 세르지오는 스폴레토의 람베르토 2세 황제를 지지하는 귀족당의 일원이었다. 그는 교황 포르모소 및 포르모소가 지지한 아르눌프 폰 케른텐과는 적대 관계였다.[57] 893년, 포르모소는 세르지오를 체르베테리의 주교로 서임하면서 그에게 로마를 떠나라고 지시했다.[58] 교황 테오도로 2세는 포르모소가 세르지오에게 부여한 사제 서품의 유효성을 인정했지만,[59] 896년 포르모소 선종 후 그가 생전에 부여한 모든 서품이 한때 무효 처리되면서 세르지오는 한동안 주교로서 활동하지 못하였다.[60] 세르지오는 선종한 포르모소를 단죄한 시체 시노드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61]
898년 교황 테오도로 2세가 선종하자, 세르지오는 아버지 베네딕토가 이끄는 로마 귀족들의 힘을 빌려 교황이 되고자 했다. 그러나 이는 그가 지지했던 람베르토 2세 황제의 뜻과 달랐다. 테오도로 2세의 후임으로 교황 요한 9세가 선출되면서 세르지오의 희망은 좌절되었다. 람베르토 2세의 지지를 받은 요한 9세는 교황으로 즉위한 후, 세르지오와 그의 추종자들을 파문하기 위해 시노드를 소집했다.[62] 세르지오는 람베르토 2세에 의해 로마에서 추방되어 체르베테리의 주교좌로 피신했고, 토스카나 후작 아달베르토 2세의 보호를 받았다.[63]
2. 3. 교황 선출 시도와 추방
교황 마리노 1세에 의해 차부제로, 교황 스테파노 5세 때 부제로 서품받은 세르지오는 교황 포르모소 재임 시절, 스폴레토의 람베르토 2세 황제를 지지하는 귀족당의 일원이었다.[56][57] 그는 포르모소와 그가 지지한 아르눌프 폰 케른텐과는 적대 관계였으며, 893년 포르모소는 세르지오를 체레의 주교(체르베테리)로 서임하면서 로마에서 떠나도록 지시했다.[57][58] 896년 포르모소가 선종한 후, 그가 부여한 모든 서품이 한때 무효 처리되면서 세르지오는 한동안 주교로서 활동하지 못했지만,[60] 교황 테오도로 2세에 의해 유효성을 입증받았다.[59] 세르지오는 시체 시노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이미 선종한 포르모소를 단죄하는데 앞장섰다.[61]898년 교황 테오도로 2세가 선종하자, 세르지오는 자신의 아버지 베네딕토가 이끄는 로마 귀족들의 힘을 빌려 교황이 되고자 했다. 그러나 이는 그가 지지했던 람베르토 2세 황제의 뜻과는 반대되는 것이었다. 결국 테오도로 2세의 후임자로 교황 요한 9세가 선출되면서 세르지오의 희망은 좌절되었다. 람베르토 2세의 지지를 등에 업은 요한 9세는 성공적으로 교황으로 선출되었고, 세르지오와 그의 추종자들을 파문하기 위해 시노드를 소집했다.[62] 세르지오는 람베르토 2세에 의해 강제로 로마에서 추방되어 자신의 주교좌 소재지인 체레의 주교(체르베테리)로 피신하였고, 토스카나 후작 아달베르토 2세의 보호를 받게 되었다.[63]
3. 교황 재위
세르지오 3세는 교황 포르모소를 반대하는 파벌에 속했으며, 스테파노 6세가 포르모소의 시신을 훼손한 사건을 옹호했다.[72] 그는 시노드를 소집하여 포르모소의 서품을 모두 무효화하고, 그에게 서품받은 성직자들에게 다시 서품을 받도록 명령하여 큰 혼란을 야기했다.[70] 로마 성직자들은 세르지오 3세의 협박과 폭력, 뇌물에 굴복했지만, 로마 외곽 지역에서는 이 결정에 반발하며 포르모소의 서품을 옹호하는 서신을 보내기도 했다.[71] 이 결정은 결국 세르지오 3세 사후에 무효화되었다.
세르지오 3세는 루트비히 3세와 베렌가리오 1세 사이의 권력 다툼에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다. 처음에는 베렌가리오 1세의 대관식을 거행하기로 했으나, 그의 봉신 통제 능력에 의문을 품고 라벤나 대주교 요한의 영지를 침탈한 이스트리아 변경백 알부이누스 문제를 해결하기 전까지 대관식을 미루겠다고 선언했다.[76][77]
또한 세르지오 3세는 지진과 약탈로 파괴된 라테라노 궁전을 복구하고,[78] 사라센과 마자르족에게 피해를 입은 성당과 수도원 재건을 지원했다.[79][80] 서프랑크 왕국과 동프랑크 왕국 내 일부 수도원 및 성당에 대한 특권도 얻어냈다.
세르지오 3세는 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에 필리오케 문구를 추가하는 것을 지지하여 동방 교회와 갈등을 빚었다. 트로슬레 공의회에 참석한 교황 특사들은 동로마 제국의 사절단을 비판했으며,[81] 1세기 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세르기오스 2세는 세르지오 3세의 이름을 주교 명단에서 삭제했다.[82]
레온 6세 황제의 네 번째 결혼 문제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니콜라오스 미스티코스와 갈등을 빚었을 때, 세르지오 3세는 황제의 편을 들어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사절단을 보내 황제의 혼인을 옹호했다.[83]
3. 1. 교황 즉위 과정
대립교황 크리스토퍼 (903-904)가 무력으로 성 베드로의 교황 자리에 오른 시점에 로마의 상황은 변화를 맞이하여, 902년 퇴각하는 황제 맹인 루이에 의해 로마에 배치된 투스쿨룸의 ''마기스테르 밀리툼'' 테오필락투스의 부상이 있었다. 귀족 파벌의 수장이 된 테오필락투스는 크리스토퍼에 반기를 들고 세르지오에게 로마로 돌아와 교황이 되어달라고 요청했다.[15][16] 세르지오는 이를 받아들였고, 아달베르트 2세의 무력 지원을 받아 로마에 입성했는데, 이미 이 시점에서 크리스토퍼는 테오필락투스에 의해 감옥에 갇힌 상태였다. 세르지오는 904년 1월 29일에 교황으로 축성되었다.[17]세르지오 3세는 그의 새로운 후원자인 테오필락투스의 힘에 힘입어 교황이 되었고, 그에게 교황의 후원 업무를 관리하는 핵심 고위 관료인 ''사크리 팔라티 베스타라리우스'' 자리를 주어 보답했다. 이렇게 모든 실권은 테오필락투스에게 넘어갔고, 세르지오는 사실상 그의 꼭두각시가 되었다. 아마도 이러한 권력 이동의 첫 번째 명확한 징후는 세르지오의 두 전임자인 교황 레오 5세와 대립교황 크리스토퍼의 운명에서 나타났다. 친포르모수스파인 에우제니우스 불가리우스에 따르면, 세르지오는 904년 초에 두 사람을 감옥에서 교살하라고 명령했다.[18] 세르지오의 재위 기간 동안 두 사람이 살해된 것은 사실로 보이지만, 다른 기록에서는 적어도 크리스토퍼는 수도원으로 은퇴할 수 있었다고 전한다.[19] 실권이 어디에 있었는지를 고려해 볼 때, 테오필락투스가 직접 명령했거나 세르지오에게 명령을 내리도록 지시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20]
로마 귀족 출신으로, 반 포르모수스파였던 세르지오 3세는 897년 12월에 요한 9세와 교황 자리를 두고 다투어 일시적으로 승리했지만, 황제람베르토 2세에 의해 로마에서 추방당했고, 결국 황제의 지지를 얻었던 요한 9세가 교황직을 맡았다.
903년에 전임 레오 5세가 대립교황인 크리스토포루스에 의해 폐위되자, 904년 1월 크리스토포루스를 추방하고 새 교황으로 취임했다. 취임 후에는 요한 9세에 대한 보복으로 그의 교황직 박탈을 선언하거나, 포르모수스를 지지했던 역대 교황들에게도 명예 박탈을 행했다. 또한, 교황 취임 당시 생존해 있던 대립 교황 크리스토포루스는 수도사 신분으로 강등되었고, 크리스토포루스에 의해 투옥되었던 전 교황 레오 5세는 옥사했다.
3. 2. 테오필락트 가문과의 관계
세르지오 3세는 테오필락트 1세 가문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는데, 일각에서는 테오필락트 1세의 딸 마로치아와의 부적절한 관계 때문이라는 소문이 있었다. 마로치아의 어머니 테오도라에 의해 이러한 소문이 퍼졌으며, 세르지오 3세와 마로치아 사이에는 아들이 하나 있었는데, 이 아들이 훗날 교황 요한 11세가 된다고 한다.[84] 그러나 이 이야기는 세르지오 3세가 선종한 후 약 50년 뒤 크레모나의 리우트프란트가 쓴 연대기에만 등장한다. 세르지오 3세와 동시대 인물인 나폴리의 아욱실리오와 에우게니우스 불가리우스는 포르모소 교황에 대한 세르지오 3세의 행동을 비판했지만, 이러한 주장은 하지 않았다.[85]세르지오 3세와 마로치아의 관계는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909년 마로치아가 스폴레토의 알베릭 1세와 결혼하면서 끝났을 것으로 보인다. 요한 11세는 910년에 태어났는데, 이때는 이미 마로치아가 결혼한 후였다. 따라서 요한 11세가 세르지오 3세의 아들이 아닐 가능성도 있다.[86] 하지만 귀족 가문의 맏아들이 성직자가 되고, 차남인 알베릭이 스폴레토 공작위를 계승했다는 점은 요한이 사생아, 특히 세르지오 3세의 아들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대립교황 크리스토퍼 (903-904)가 교황 자리에 오르면서 로마의 상황은 변했다. 902년 로마에 배치된 투스쿨룸의 ''마기스테르 밀리툼'' 테오필락투스가 귀족 파벌의 수장이 되어 크리스토퍼에게 반기를 들고 세르지오에게 교황이 되어달라고 요청했다.[15][16] 세르지오는 이를 수락하고 904년 1월 29일에 교황으로 축성되었다.[17]
세르지오 3세는 테오필락투스의 힘으로 교황이 되었고, 그에게 ''사크리 팔라티 베스타라리우스'' 자리를 주어 보답했다. 모든 실권은 테오필락투스에게 넘어갔고, 세르지오는 사실상 그의 꼭두각시가 되었다. 세르지오는 교황 재위 기간 동안 족벌주의를 통해 그의 가족과 귀족 당원들을 교회의 권위 있는 지위로 승진시켰다.[21]
3. 3. 전임 교황들에 대한 조치
세르지오 3세는 시노드를 소집하여 교황 포르모소의 서품을 모두 무효라고 선언하고, 그에게서 서품받은 모든 성직자는 다시 서품받으라고 요구하였다. 이는 큰 혼란을 일으켰다.[70] 당시 시노드에서 세르지오 3세는 로마 성직자단을 상대로 추방, 폭력, 뇌물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결정을 따르게 했다고 전해진다.[70] 성직 재서품 결정에 대해 민심이 흉흉해졌으며, 로마에서 멀리 떨어진 교구들에서는 이를 무시하고 공개적으로 규탄하며 포르모소 서품의 유효성을 정당화하는 서신을 보내기도 했다.[71] 이 결정은 세르지오 3세가 선종한 후 무효가 되었다.세르지오 3세는 포르모소와 적대 관계였던 스테파노 6세를 칭송하는 묘비를 세웠다.[72] 수세기 동안 세르지오 3세가 포르모소의 시신을 다시 꺼내 제2차 시체 시노드를 열어 유죄 판결 후 목을 베었다는 이야기가 있었으나,[73] 이는 크레모나의 리우트프란트의 기록 오류로 신빙성이 떨어진다.[74]
에우제니우스 불가리우스에 따르면, 세르지오 3세는 그의 두 전임자인 교황 레오 5세와 대립교황 크리스토퍼를 감옥에서 교살하라고 명령했다.[18] 그러나 다른 기록에서는 크리스토퍼가 수도원으로 은퇴할 수 있었다고도 전한다.[19]
3. 4. 이탈리아 내 활동
세르지오 3세는 시노드를 소집하여 교황 포르모소의 서품을 모두 무효로 선언하고, 그에게 서품받은 모든 성직자는 다시 서품받으라고 요구하여 큰 혼란을 일으켰다. 당시 시노드에서 세르지오 3세는 로마 성직자단을 상대로 추방, 폭력, 뇌물 등을 이용하여 위협함으로써 자신의 결정을 따르게 했다고 전해진다.[70] 성직 재서품 결정에 대해 민심이 흉흉해졌으며, 로마에서 멀리 떨어진 교구에서는 이를 무시하고 포르모소 서품의 유효성을 정당화하는 서신을 보내기도 했다.[71] 이 결정은 세르지오 3세 사후 무효가 되었다.세르지오 3세는 포르모소와 적대 관계였던 세력을 지지하며, 시체 시노드에서 포르모소의 시신을 훼손한 교황 스테파노 6세의 무덤에 그를 칭송하는 글귀를 새긴 묘비를 세웠다.[72] 수 세기 동안 세르지오 3세가 포르모소의 시신을 다시 꺼내 제2차 시체 시노드를 열어 유죄 판결을 내리고 목을 베었다고 알려졌으나,[73] 이는 크레모나의 리우트프란트의 기록 오류로 신빙성이 떨어진다.[74]
세르지오 3세와 테오필락트 1세는 루트비히 3세의 명목상 통치를 지지하지 않았지만, 베렌가리오 1세에게 황제 칭호를 부여하는 것도 꺼렸다.[75] 906년경 세르지오 3세가 베렌가리오 1세의 대관식을 거행하기로 하자, 스폴레토의 알베리코 1세와 토스카나 변경백 아달베르토 2세가 반발하여 베렌가리오 1세는 로마에 들어오지 못했다. 907년 이스트리아 변경백 알부이누스가 교황 요한 10세의 영지인 라벤나 대주교의 영지를 강탈하자, 세르지오 3세는 알부이누스에게 침탈 중단을 요구했다.[76] 그러나 알부이누스가 이를 무시하자, 세르지오 3세는 910년 폴라의 주교에게 보낸 서신에서 베렌가리오가 알비누스의 침탈 행위를 중단시키고 영토를 더 나은 사람에게 주겠다고 약속하기 전까지 베렌가리오를 황제로 등극시키지 않겠다고 밝혔다.[77]
세르지오 3세는 896년 지진으로 무너지고 대립 교황 크리스토포로에게 약탈당한 라테라노 궁전을 복구했다. 그는 각종 물품과 성화상, 십자고상 등으로 새로 단장하고 벽에는 프레스코화로 장식했다.[78] 905년에는 사라센에 의해 파괴된 실바칸디다 성당 재건 기금을 냈고,[79] 마자르족의 침입으로 파괴된[80] 노난톨라 수도원 복구를 도왔다. 또한 서프랑크 왕국과 동프랑크 왕국 내 일부 수도원 및 성당에 대한 특권도 얻어냈다.
3. 5. 콘스탄티노폴리스와의 관계
세르지오 3세는 전임 교황들과 마찬가지로 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에 필리오케(성자로부터) 문구를 추가하는 것을 지지하여 동방 교회와 대립하였다. 909년 6월 트로슬레 공의회에 참석한 교황 특사들은 동로마 제국의 사절단을 비판하였는데, 이는 시노드의 교회법 조항 제14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81]> 거룩한 사도좌는 성령을 적대시하는 포티오스의 불경스러운 오류, 즉 성령께서는 오직 성부에게서 나시며 성자에게서는 나시지 않는다는 오류가 아직도 동방에 만연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러므로 다시 회생하고 있는 이 괴물을 물리치기에 충분할 정도로 성경 말씀을 사려 깊게 연구한 로마 주교좌의 교부들의 경고에 대해 그대들은 우리와 함께 동참해 주기를 촉구하는 바이다.[81]
이러한 대립의 여파로, 1세기 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세르기오스 2세는 주교 명단이 적힌 딥티크(diptych)에서 세르지오 3세의 이름을 삭제했다.[82]
세르지오 3세 재임 기간 동안 콘스탄티노폴리스와의 주요 쟁점은 레온 6세 황제의 혼인 문제였다. 조이 카르보노프시나와 혼인하기를 원했던 레온 6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니콜라오스 미스티코스와 세르지오 3세에게 혼인을 허락해 달라고 요청하였다. 세르지오 3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사절단을 보내 레온 6세의 네 번째 혼인을 비난할 근거를 찾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혀 황제를 지지하였다.[83] 그러나 니콜라오스는 레온 6세의 네 번째 혼인을 인정하지 않아 총대주교 자리에서 강제로 쫓겨났고, 자신의 퇴출이 불법이라며 세르지오 3세에게 상소하였다.
3. 6. 마로치아와의 관계 논란
세르지오 3세는 테오필락트 1세 가문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는데, 소문에 따르면 테오필락트 1세의 딸 마로치아와 부적절한 관계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이러한 소문은 테오필락트 1세의 아내이자 마로치아의 어머니인 테오도라가 퍼뜨렸으며, 세르지오 3세와 마로치아 사이에는 훗날 교황 요한 11세가 되는 아들이 있었다고 한다.[84] 그러나 이 이야기는 세르지오 3세 사후 약 50년 뒤 크레모나의 리우트프란트가 쓴 연대기에만 나오는 내용이다. 세르지오 3세와 동시대 인물인 나폴리의 아욱실리오와 에우게니우스 불가리우스는 포르모소 교황에 대한 세르지오 3세의 행동을 비판했지만, 이러한 주장은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85]세르지오 3세와 마로치아의 관계가 사실이었다 하더라도, 909년 마로치아가 스폴레토의 알베릭 1세와 결혼하면서 관계가 끝났을 것으로 보인다. 세르지오 3세와 마로치아의 관계는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교황 요한 11세는 910년에 태어났는데, 이때는 이미 마로치아가 알베릭 1세와 결혼한 후였다. 따라서 요한 11세가 세르지오 3세의 아들이 아닐 가능성도 있다.[86] 하지만 귀족 가문의 맏아들이 아버지의 가문을 잇지 않고 성직자가 된 것은 특이한 경우이다. 차남인 알베릭이 스폴레토 공작위를 계승한 것은 요한이 사생아일 가능성, 특히 세르지오 3세가 친부일 가능성을 암시한다고 볼 수도 있다.
4. 죽음과 평가
세르지오 3세는 911년 4월 14일에 선종하여 성 베드로 대성전에 안장되었다.[87] 그는 크레모나의 리우트프란트를 비롯한 여러 기록을 통해 역사적으로 비난받았으며, 특히 19세기 교황사학자들은 그의 재임 기간을 '암흑 시대' 또는 '창부정치'의 시작으로 보았다. 리우트프란트는 테오도라를 "뻔뻔한 창녀"로, 마로치아를 세르지오 3세의 정부이자 교황 요한 11세의 어머니라고 묘사했다.[88]
16세기 체사레 바로니우스는 세르지오 3세를 "악마와 같이 나쁜 인간"이라고 혹평했다.[88] 그러나 람베르토에 의해 세르지오 3세가 축출될 때 공식 기록이 파괴되어 객관적인 진실을 알기 어렵다.[89] 《가톨릭 백과사전》은 세르지오 3세에 대한 부정적인 이야기들이 왜곡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90]
현대 학자들 역시 대부분 세르지오 3세에 대해 부정적이다. 호레이스 K. 만은 그를 정파적인 인물로, 페르디난트 그레고로비우스는 열성적이지만 사도적 덕망은 부족한 인물로 평가했다.[91] [92] 제임스 S. 패커는 그를 흉포하고 사악한 사람으로, 발터 울만은 권력과 불륜에 매달린 인물로 묘사했다.[93] [94]
4. 1. 죽음
세르지오 3세는 911년 4월 14일에 선종하였으며, 시신은 성 베드로 대성전에 안장되었다.[87] [39] 그의 뒤는 교황 아나스타시오 3세가 이었다.4. 2. 역사적 평가
세르지오 3세는 크레모나의 리우트프란트의 기록을 통해 주로 비난받아 왔다. 19세기 교황사학자들은 리우트프란트와 《교황 연대표》 등의 기록을 바탕으로 세르지오 3세 재임 시기부터 '암흑 시대' 또는 '창부정치'가 시작되었다고 보았다. 리우트프란트는 테오도라를 "여느 남자 못지않게 로마인들에게 권력을 행사했던... 뻔뻔한 창녀"로 묘사했고, 그녀의 딸 마로치아는 세르지오 3세의 정부이자 교황 요한 11세의 어머니라고 주장했다.[88]16세기 체사레 바로니우스는 리우트프란트의 자료를 근거로 세르지오 3세를 "악마와 같이 나쁜 인간"이라며 혹독하게 비판했다.[88] 그러나 세르지오 3세가 람베르토에 의해 쫓겨났을 때 공식 기록이 파괴되어 객관적 진실은 알기 어렵다. 남아있는 기록 대부분은 나폴리로 도망간 친포르모소파가 작성한 것이다.[89] 《가톨릭 백과사전》은 세르지오 3세의 불미스러운 이야기들이 세르지오 3세와 관계가 좋지 않았던 이들의 기록에 기인하며, 존경할 만한 동시대 사람들의 평가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언급한다.[90]
오늘날 학자들 대부분은 세르지오 3세에 대해 부정적 견해를 가지고 있다. 호레이스 K. 만은 "세르지오는 불행하게도 특정 정파에 속한 당원이었던 것이 분명하며, 자신이 속한 정파의 우월성을 간절히 바랐다"고 평가했다.[91] 페르디난트 그레고로비우스는 "7년 동안 혼란스러웠던 시기에 교황직을 지켰던 세르지오는 적어도 열성적인 인물이었다"고 평가했다.[92] 제임스 S. 패커는 세르지오 3세를 사병을 동원해 정적들을 살해한 흉포하고 사악한 사람으로 묘사했고,[93] 발터 울만은 그를 권력과 불륜에 매달린 테오필락트 가문의 전형적인 인물로 묘사했다.[94]
참조
[1]
서적
Collins 2010
[2]
서적
Mann 1910
[3]
웹사이트
The Cadaver Synod: The Strangest Trial in History
http://www.law.uga.e[...]
2001-10-31
[4]
서적
Collins 2010
[5]
서적
The Lives of the Popes From The Time Of Our Saviour Jesus Christ to the Accession of Gregory VII
https://archive.org/[...]
Griffith Farran & Co.
2013-04-25
[6]
서적
Mann 1910
[7]
서적
Mann 1910
[8]
서적
Mann 1910
[9]
서적
Mann 1910
[10]
서적
Mann 1910
[11]
서적
The Popes: A History
[12]
서적
Mann 1910
[13]
서적
Mann 1910
[14]
서적
Mann 1910
[15]
서적
Mann 1910
[16]
서적
De Cormenin 1857
[17]
서적
Mann 1910
[18]
서적
De Causa Formosiana
[19]
서적
Gregorovius 1895
[20]
서적
Mann 1910
[21]
서적
Gregorovius 1895
[22]
서적
Mann 1910
[23]
서적
Mann 1910
[24]
서적
Mann 1910
[25]
서적
The Lives of the Popes From The Time Of Our Saviour Jesus Christ to the Accession of Gregory VII
[26]
서적
Mann 1910
[27]
서적
Mann 1910
[28]
서적
Mann 1910
[29]
서적
Mann 1910
[30]
서적
Mann 1910
[31]
서적
Mann 1910
[32]
서적
Mann 1910
[33]
서적
Mann 1910
[34]
서적
A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and Society
[35]
서적
Gregorovius 1895
[36]
문서
Mann 1910
[37]
백과사전
[38]
서적
The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with Notes
[39]
문서
Mann 1910
[40]
서적
Church history: twenty centuries of Catholic Christianity
https://archive.org/[...]
Paulist Press.
[41]
서적
Medieval Italy: An Encyclopedia
Routledge
[42]
서적
Unzipped: The Popes Bare All: A Frank Study of Sex and Corruption in the Vatican
American Atheist Press
[43]
문서
De Cormenin 1857
[44]
문서
Collins 2010
[45]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Pope Sergius III'
http://www.newadvent[...]
[46]
문서
Mann 1910
[47]
문서
Gregorovius 1895
[48]
서적
Saints, Sinners, and Christian History: The Contradictions of the Christian Past
[49]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Papacy in the Middle Ages
[50]
문서
瀬原
[51]
문서
Collins
[52]
간행물
"The Cadaver Synod: The Strangest Trial in History"
http://www.law.uga.e[...]
2001-10-31
[53]
문서
Collins
[54]
인용
The Lives of the Popes From The Time Of Our Saviour Jesus Christ to the Accession of Gregory VII
http://www.archive.o[...]
Griffith Farran & Co.
2013-04-25
[55]
문서
Mann
[56]
문서
Mann
[57]
문서
Canduci
[58]
문서
Mann
[59]
문서
Mann
[60]
문서
Mann
[61]
서적
The Popes: A History
[62]
문서
Mann
[63]
문서
Mann
[64]
문서
Mann
[65]
문서
Mann
[66]
문서
Eugenius Vulgarius, De Causa Formosiana
[67]
문서
Gregorovius
[68]
문서
Mann
[69]
문서
Gregorovius
[70]
문서
Mann
[71]
서적
Mann, pgs. 122–125; DeCormenin pgs. 282–283
[72]
서적
Mann, pgs. 83 & 121
[73]
서적
The Lives of the Popes From The Time Of Our Saviour Jesus Christ to the Accession of Gregory VII
1888
[74]
서적
Mann, pg. 83
[75]
서적
Canduci, pgs. 222–223
[76]
서적
Mann, pgs. 126–127
[77]
서적
Mann, pg. 127
[78]
서적
Mann, pgs. 134–136; Gregorovius, pgs. 245–246
[79]
서적
Mann, pgs. 127–128
[80]
서적
Mann, pgs. 128–129
[81]
서적
Mann, pg. 130
[82]
서적
Mann, pgs. 130–131
[83]
서적
A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and Society
1997
[84]
서적
Gregorovius, pgs. 244–245; Mann, pg. 137
[85]
서적
Mann, pgs. 137–139
[86]
서적
The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with Notes
1841
[87]
서적
Mann, pgs. 141–142
[88]
서적
DeCormenin, pg. 282
[89]
서적
Collins, pg. 174
[90]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Pope Sergius III
http://www.newadvent[...]
[91]
서적
Mann, pg. 140
[92]
서적
Gregorovius, pg. 245
[93]
서적
Saints, Sinners, and Christian History: The Contradictions of the Christian Past
2008
[94]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Papacy in the Middle Ages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